미투운동 이후 문화예술계 대학생의 성폭력 피해 현황과 향후 대응 과제
        구분 기본 상태 완료
        담당자 이미정 연구기간 2019-01-01 ~ 2019-10-3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오랫동안 문화예술계 학생이나 여성 종사자들은 교육현장, 작업현장의 인간관계에서 성희롱·성폭력에 광범위하게 노출되었지만, 이들의 성폭력 고충을 상담하고 지원하는 체계는 미비
         □ 2018년 초반 이후 미투운동 과정에서 폭로된 문화예술계 대학생 성희롱·성폭력 사건에서 피해 상담과 구제과정을 검토하고 문제점을 파악
         □ 미투운동 이후 드러난 문화예술계 대학생들의 성희롱·성폭력 피해 현황 및 대응 방식을 검토하고 관련 문제점 파악 및 향후 정책 대응방안 제시
         
        [주요 연구 내용]
         □ 문화예술계 고등교육기관에서의 성희롱·성폭력 현황 및 관련 인식
         □ 문화예술계 대학생의 성희롱·성폭력 피해 특성
          - 성희롱·성폭력 발생 시기 및 공간
          - 성희롱·성폭력으로 인한 정서적 후유증
          - 성희롱·성폭력 가해자 특성
          - 성희롱·성폭력 발생 이후의 2차 피해 등 전개 양상
         □ 문화예술계 성폭력 피해 대학생의 사건 대응 현황
          - 피해 대학생의 피해 감추기와 드러내기 
          - 동료 및 학생회 조력자의 역할
          - 대학 성희롱 고충상담기구 등 관련 기관 등에 도움 청하기 
         □ 문화예술계 학생 성희롱·성폭력 피해에 대한 대학당국의 대응 및 문제점
          - 대학 고충처리기구의 상담 및 피해자 지원조치
          - 피해 대학생의 학습권 보장을 위한 조치 제공 
          - 사건조사 및 징계 과정 및 관련 문제점
         □ 문화예술계 대학생 성희롱·성폭력 피해구제 개선을 위한 정책과제  
          - 문화예술계 대학생 및 교육자 대상 성희롱·성폭력 예방교육 
          - 성희롱·성폭력 발생 인지 시 동료 및 선후배의 지원 역할 교육
          - 문화예술계 프로그램에서의 성희롱·성폭력 관련 대학 당국의 정책과제  
          - 문화체육관광부 정책 과제

         

        [연구추진 방법]
         □ 문헌연구 및 정책 자료 검토
          - 문화예술계 및 문화예술계 고등교육기관 성희롱·성폭력 관련 기존 연구 검토
         □ 대학생 사례 연구  
         □ 문화예술계 대학생 피해 사건 처리 방식을 파악하기 위해 대상 심층면접 및 초점집단면접 실시 
         □ 전문가 자문회의 개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