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전환기의 여성일자리 연구(Ⅰ): 여성의 일과 일자리의 미래
        구분 기본 상태 완료
        담당자 오은진 연구기간 2020-01-01 ~ 2020-12-31

        [연구개요]
         □ 1차년도(2020) : 여성의 일과 일자리의 미래
         □ 2차년도(2021) : 새로운 역량과 사회적 보호체계
          - 디지털 전환에 의한 미래 세대 일자리와 관련하여 사각지대 발굴 및 사회적 보호체계 강화, 직업훈련의 사각지대 개선을 통한 역량 강화, 기업의 인사관리체계의 변화 및 노동조합의 변화 등에 대한 대안적 정책 제안
          - 인사관리의 새로운 방향성: 채용, 임금 및 보상체계에 대한 기업의 변화 분석
          - 인적자원개발(HRD)과 관련한 역량강화 교육훈련체계의 강화
          - 비정형 노동의 확대에 대한 사회적 보호체계 : 여성노동의 변화에 따른 새로운 일자리 형태에 대한 분석와 사회적 보호체계 및 직업훈련 강화


        [1차년도(2020):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여성 일자리와 관련하여 노동시장의 성평등 이슈에 대한 명확한 문제제기와 함께 이런 문제들이 향후 일터의 디지털화에 의해 더 가속화 될 것인가 아니면 완화될 것인가를 전망.예측하여 문제와 대안을 제시하고, 미래 고용서비스에서의 디지털화를 통한 일자리 매칭 시스템에서의 성편견과 관련한 부분을 검토하여 이에 대한 개선안 제안


        [1차년도(2020): 주요 연구내용]
         □ 디지털 전환 단계에 있는 현재 노동시장에서의 주요 성평등 이슈 발굴
         □ 일터의 디지털화에 의한 노동시장에서 여성 일자리와 성평등 문제의 방향성 분석
         □ 플랫폼 일자리 영역에서의 남녀가 대비되는 산업 또는 직무를 중심으로 여성과 남성의 직업 및 직무수준의 변화를 확인
         □ AI 도입 영역에 대한 현황과 직무의 젠더편향성 정도를 파악
         □ 젠더 관점에서 접근해야 하는 여성 일자리의 새로운 미래 전략


        [1차년도(2020): 연구 추진방법]
         □ 디지털 전환으로 인한 사회환경 변화 관련 이론적 논의: 문헌 연구
         □ 전통산업과 디지털 네트워크 기반한 실태조사
          - 양적 조사 : 기업 및 근로자 질문지 조사(해당 기업 근로자 약 1,000명)
          - 질적 조사 : 기업담당자 1:1면담(20명), 집담면접(3-4집단)/ 근로자 1:1개별면담(20명), 집담면접(3-4집단)
         □ 전문가 회의 및 인터뷰(관련 영역 또는 학자들의 인터뷰를 중심으로 이슈 발굴)
         □ 정책 전문가 델파이 조사: 공무원, 정책 연구자, 교수 등
         □ 노동데이터 분석 : 노동패널자료 및 통계청 자료 분석
         □ 해외 기업 사례 및 국가 정책 동향 조사 : 독일 등의 사례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