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시장 성 격차 해소를 위한 분야별 전략개발(III) : 성별 전공분리를 중심으로
        구분 기본 상태 완료
        담당자 신선미 연구기간 2020-01-01 ~ 2020-12-31

        [연구개요]
        □ 본 연구는 1차년도(채용단계), 2차년도(채용 이후 직장 내 경력개발단계), 3차년도(채용 이전의 학교교육 및 진로선택 단계)의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여성에게 평등하게 일할 권리와 기회를 보장하기 위한 여러 정책 간의 균형 점검 및 정책 사각지대 대응과제를 제안하고자 함
        □ 1차년도(2018) : 노동시장 성 격차 해소를 위한 전략개발(Ⅰ): 채용을 중심으로
          - 채용 단계의 성 불평등 분석 : 사업체 특성별 채용규모, 채용방법 등 채용관행의 변화로 인한 성 불평등의 변화, 채용 상의 성차별 실태
        □ 2차년도(2019) : 노동시장 성격차 해소를 위한 분야별 전략개발(Ⅱ): 직장문화를 중심으로
          - 채용 이후 성 불평등 분석 : 직장 내 인사관리, 근로시간, 직무수행 방식, 조직문화 등
        □ 3차년도(2020) : 노동시장 성 격차 해소를 위한 분야별 전략개발(III) : 성별 전공분리를 중심으로
          - 채용 이전 단계에서 발생하는 성 불평등 요인 분석 : 대학에서 성별 전공분리와 노동시장 성 격차의 관계 분석


        [3차년도(2020):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대학에서 성별 전공분리가 초기 경력개발단계의 청년층에게 성별 고용률 격차, 직종분리, 임금격차를 유발하는가를 분석하여, 청년층 노동시장에서 성 격차 해소에 필요한 여학생 진로정책, 직업지도, 노동시장 이행 지원정책 개발. 1차 년도(채용단계), 2차 년도(채용 이후 직장 내 경력개발단계), 3차 년도(채용 이전의 학교교육 및 진로선택 단계)의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여성에게 평등하게 일할 권리와 기회를 보장하려는 여러 정책 간의 균형 점검 및 정책 사각지대 대응과제 제안
         □ 일반적으로 교육분야의 성 불평등은 거의 해소된 것으로 인식되고 있으나, 최근 20년 간 성별 교육수준과 전공분리 추이 및 원인 분석을 통해 교육분야에서 해소되지 못한 성 불평등 문제를 확인하고 원인 분석
         □ 우리나라의 성별 직종분리 실태에 관한 연도별, 교육수준별, 연령대별, 지역별 상세분석을 통해 노동시장 성 격차 이해의 공백부분을 보완 
         □ 신규대졸 청년을 중심으로 교육에서의 성 격차와 노동시장에서의 성 격차 간의 연관 분석


        [3차년도(2020): 주요 연구내용]
         □ 선행연구 검토
         □ 성별 전공분리 실태와 원인 분석
         □ 성별 전공분리와 노동시장에서의 성 격차 간의 연관 분석
         □ 노동시장의 성 격차 해소를 위한 교육분야 전략과 정책과제
         

        [3차년도(2020): 연구 추진방법]
         □ 문헌자료 분석
          - 성별 전공분리, 직종분리, 임금격차 관련 연구
          - 노동시장의 성 격차 해소 관련 정책자료, 언론보도 등 
         □ 통계자료 분석
          - 교육통계자료(1999-2019) : 연도별, 전공별, 학위과정별 입학자, 졸업자, 학생수 자료
          - 경제활동인구조사 혹은 고용형태별 근로실태조사(1999-2018) : 성별 직종분리 상세분석
          -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2009-2019) : 성별 전공분리, 직종분리, 임금격차 관계분석
         □ 대학생 전공선택 및 희망직업 실태조사 : 전국대학생 3학년 이상 1,000~2,000명(성별, 지역, 연령, 전공계열 고려한 비례할당표집, 면접원 조사)
         □ 면접조사
          - 대기업 인사담당자 : 이공계 선호 채용문화 실태조사
          - 시도 교육청 장학사 : 성평등 진로지도, 선택 교과개설 관련 조사 
         □ 정책토론회 개최 : 1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