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여성 비례대표 의원의 역할인식과 활동 성과 분석
        구분 기본 상태 완료
        담당자 김은경 연구기간 2020-01-01 ~ 2020-12-3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국회 뿐 아니라 정당 영역에서 비례대표 의원의 기능과 역할을 여성의 정치참여와 정치세력화의 관점에서 분석
         □ 첫째, 비례대표 의원으로 정치에 충원된 여성 의원들은 스스로가 그들의 역할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여성단체가 기대하는 역할과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 둘째, 비례 여성의원들의 국회 및 정당 내 활동에서 여성대표성을 실현하기 위해 어떤 활동을 하고 있으며 한계는 무엇인지, 비례의원을 충원한 정당은 이들에게 어떤 기회구조를 제공하고 있는지 파악하고. 마지막으로 비례 여성의원들의 성인지적 인식을 높이고 이들이 여성 대표로서의 활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국회와 정당에서 어떤 노력이 필요한지 모색


        [주요 연구내용]
         □ 혼합선거제도에서 비례대표제의 구성과 기능에 대한 이론적 고찰
         □ 비례대표 여성의원의 의정활동과 분야별 여성 대표성
         □ 비례대표 여성의원의 역할인식과 기대역할 및 정치활동의 한계 
         □ 해외사례  
          - 혼합선거제도하에서 비례대표제와 여성할당제 운영의 해외 사례(독일, 일본, 뉴질랜드 등)
          - 초당적 여성의원 연대기구(미국 초당적 여성의원 연맹: The Congressional Caucus for Women’s Issues (Women’s Caucus) 등)
         □ 여성의 정치세력화를 위한 비례대표제 운영의 개선방안 : 국회차원, 정당차원


        [연구 추진방법]
         □ 문헌연구
          - 비례대표제의 기능과 역할에 대한 문헌연구  
          - 비례대표 후보자에 대한 자료 조사(제17대-제21대)
          - 비례대표 의원의 상임위 활동 자료 조사(제17대-제20대) 
          - 해외사례에 대한 문헌 조사
         □ 심층면접조사
          - 비례대표 여성의원 대상 : 전·현직 여성 비례대표 의원(제17대∼21대) 약 20명 내외와 비례대표 출신 전·현직 지역구 여성의원 약 5명 내외
          - 여성단체 활동가 및 관련분야 전문가 대상 심층면접(집담회) : 여성단체 활동가, 지역 여성정책 연구기관 연구자, 학자 및 전문가(약 10명)
         □ 설문조사 : 여성 국회의원(17대 이후 비례 및 지역구의원, 약 100명), 여성단체 활동가 및 관련분야 전문가 등(약 150명), 총 250명 내외
         □ 전문가 자문회의 개최: 착수보고 및 중간보고회 , 전문가 자문회의(여성단체 및 학계 등)
         □ 연구결과 세미나 개최(1회) : 정당 및 여성단체, 한국여성의정, 한국정치학회, 한국정당학회 등 공동주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