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전환기의 여성 일자리 연구(Ⅱ) : 경력개발과 사회적 보호체계
        구분 기본 상태 완료
        담당자 신선미 연구기간 2021-01-01 ~ 2021-12-31

        [연구개요]
         □ 1차년도(2020) : 디지털 전환기의 여성일자리 연구(Ⅰ) - 여성의 일과 일자리의 미래
          - 여성 일자리와 관련하여 노동시장의 성평등 이슈에 대한 명확한 문제제기와 함께 이런 문제들이 향후 일터의 디지털화에 의해 더 가속화 될 것인가 아니면 완화될 것인가를 전망?예측하여 문제와 대안을 제시할 예정이며, 미래 고용서비스에서의 디지털화를 통한 일자리 매칭 시스템에서의 성편견과 관련한 부분을 검토하여 이에 대한 개선안을 제안
         □ 2차년도(2021) : 디지털 전환기의 여성 일자리 연구(Ⅱ) - 경력개발과 사회적 보호체계


        ▣ 2차년도(2021): 연구 목적

         □ 여성들이 디지털 전환기 노동시장에 적응할 수 있는 역량개발 및 사회적 보호체계 수립을 위한 정책 방안 모색
         □ 근로기준법 중심의 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근로자의 포괄적 범위와 법적 지위 개선에 기여
         □ 고용노동부의 직업능력개발훈련 체계에서의 신산업 진입을 위한 경쟁력 강화 훈련 개선에 기여
         □ 새일센터를 중심으로 여성직업훈련의 디지털 프로그램 개발에 기여
         □ 회색근로자들의 증가(프리랜서, 독립계약자)에 따른 사회적 보호체계의 강화를 위한 법적·제도적 개선에 기여


        ▣ 2차년도(2021): 주요 연구내용

         □ 해외사례 및 문헌 연구
          ○ OECD 국가의 디지털 전환 관련 직업훈련 및 근로자 사회적 보호 제도

         □ 디지털 전환에 따른 여성 경제활동인구의 직업훈련 수요진단
          ○ 디지털 전환 관련 핵심인력 및 전문인력 양성에 여성 참여 실태
          ○ 여성 재직자의 경력개발 및 직업훈련 실태 및 수요조사
              (로봇 활용 제조업, 간호 서비스, 인공지능 기술개발 분야)
          ○ 회색지대(grey zone),여성 근로자(프리랜서, 독립자영업자)의 경력개발 및 직업훈련 수요조사(온디맨드 플랫폼 분야)
          ○ 중장년 여성 구직자(경력단절여성포함)의 직업훈련 수요조사

         □ 여성 일자리의 사회적 보호체계에 대한 실태 및 분석
          ○ 플랫폼 기반의 프리랜서 및 독립자영업자 대상 사회적 보호체계의 수요분석

         □ 미래 일자리의 여성의 능력개발 및 사회적 보호체계에 대한 정책 과제 개발


        ▣ 2차년도(2021): 연구 추진방법

         □ 문헌조사
         □ 사업체 및 훈련기관 질문지 조사
         □ 전문가/초점집단 면접조사
         □ 전문가 델파이조사
         □ 연구성과에 대한 세미나 개최
         □ 전문가자문회의
         □ <디지털 전환과 여성일자리 정책포럼> 운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