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의 경제적 안정 및 제조업계 내 젠더격차 해소를 위한 제조업계 여성취업 활성화 계획 추진
        등록일 2018-09-14

        여성의 경제적 안정 및 제조업계 내 젠더격차 해소를 위한 제조업계 여성취업 활성화 계획 추진

        김양숙 캐나다 토론토대학 사회학 박사과정

         

        • 지난 9월 6일, 캐나다 여성부(Status of Women Canada)의 발표에 따르면, 캐나다 연방정부는 498,000 캐나다 달러(약 4억 2,800만원)를 여성의 제조업계 진출 확대를 위한 캐나다 제조업 무역협회(이하 CME, Canadian Manufacturers & Exporters)의 3개년 프로젝트인“깨어나지  않은 잠재력: 여성의 제조업 참여 활성화(Untapped Potential: Attracting and Engaging Women in Canadian Manufacturing)”에 지원 할 것이라고 한다. 최근 캐나다 연방정부는 여성부를 중심으로 여성의 경제적 안정성(women’s economic security)을 증진시킴으로써  성 격차를 줄이고자 하는 여러 사업들을 추진하고 있는데 이번 프로젝트 또한 그러한 노력의 연장선상에 있다.
        • 캐나다 통계청(CME)에 따르면 제조업은 캐나다 GDP의 10.4%을 차지할 뿐만 아니라 직간접적으로 캐나다 전체 고용에 약 30% 가량을 기여하기 때문에 캐나다 경제에 있어 매우 중요한 부문이다. 이러한 국가 경제에서의 비중에도 불구하고 캐나다의 제조업 오늘날 노동력, 특히 기술직 노동력의 부족이라는 심각한 위기에 직면하여 생산 시설의 해외 이전을 고민하고 있는 상황에 이르고 있다. 이에 제조업계 내 여성의 비중을 늘리는 것이 여성의 경제적 안정과 제조업 내 젠더 격차 해소에 기여 할 뿐만 아니라 제조업계의 노동력 부족 현상을 해결하고 고령화 되어가는 현 제조업계의 노동력을 교체하여 국가 경쟁력 강화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것이 여성부의 입장이다.
        • CME에 의하면 현재 여성은 캐나다 전체 노동력의 약 48%를 차지하고 있지만 현재 제조업은 캐나다에서 양성 간 불균형이 가장 심한 부문 중 하나로, 제조업 분야에서 여성의 비중은 약 28%에 그치고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캐나다 남성인력의 13.1%가 제조업에 종사하고 있는 반면, 여성의 경우 전체 여성 고용 인구의 5.6%만이 제조업에 종사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헬스케어와 소셜서비스 분야 종사자의 약 83%, 교육 분야 종사자의 약 3분의 2가 여성인 것과는 대조적이다. 또한 약 29%의 여성 제조업계 종사자가 100인 이하의 사업장에 종사하고 있으며, 엔지니어 등 STEM 직군에서 여성의 비중이 특히 적다는 사실은 캐나다 여성들이 제조업에서 과소 대표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업 내에서도 저숙련직군에 주로 분포되어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CME에 따르면 제조업계 내 낮은 여성의 비중 그 자체 보다 더 심각한 문제는 캐나다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가 지난 몇 십 년 간 꾸준히 증가해 왔음에도 제조업계 내 여성의 비중은 지난 15년간 정체되어 왔다는 사실이다.
        • CME는 2016년부터  2030년까지 캐나다의 제조업 규모를 두 배로 늘린다는 로드맵(Industries 2030)을 발표하며 제조업 내 여성참여 활성화가 캐나다 제조업계의 고질적인 노동력 부족 현상 해결을 위한 해결책이 될 수 있음을 지적했고, 2017년“깨어나지  않은 잠재력: 여성의 제조업 참여 활성화”프로젝트를 런칭하며 제조업계 내 여성의 비중을 늘리기 위한 액션 플랜으로서 다섯 개의 세부 프로젝트 영역을 개발했는데 세부영역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젊은 여성들에게 제조업계에서 커리어를 쌓도록 독려하기 위해서는 제조업계 내 고위직 여성 롤모델이 필요하다. 둘째, 제조업이 더럽고 힘든 단순 공장 노동이라는 잘못된 인식을 바꿔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여성들로 하여금 현대적인 제조업 시설을 경험하게 하고 제조업계에서 어떤 직업들과 커리어가 가능한지에 대한 정확한 관점을 가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여자청소년들로 하여금 STEM 분야(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mathematics )교육을 받도록 장려해야 한다. 넷째, 경영계는 제조업에 종사하는 여성들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여 제조업 현장의 문화적 포괄성(culturally inclusive)을 강화해야 한다. 다섯째, 가정에서의 의무는 여성과 남성 모두에게 적용되는 것임으로 경영계는 일과 삶 균형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창의적인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
        • 연방정부의 재정 지원을 받게 됨에 따라 CME는 즉각적으로 캐나다 전역의 네트워크를 꾸려 더 많은 여성의 제조업 분야 취업을 독려하고 여성 친화적인 업무환경을 만들어 제조업 분야의 성평등을 증진하겠다는 입장이다. 또한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제조업자들을 위한 모범 사례 툴키트(best practices toolkit for manufacturers)를 발굴할 것이라고 한다. 캐나다 여성부 또한 산업체를 선정하여 여성의 제조업계 취업을 막는 직장 내 구조적 장애물을 없애는데 필요한 지원을 할 계획이다.

         

        • 참고자료
        1. Status of Women Canada, New federal funding will help more women enter the manufacturing sector, https://www.canada.ca/en/status-women/news/2018/09/new-federal-funding-will-help-more-women-enter-the-manufacturing-sector.html
        2. Canadian manufacturers & exporters, http://www.cme-mec.ca/english/national-initiatives/women-in-manufacturing.html
        3. Global News, Federal government providing $498K to help more women enter manufacturing sector, https://globalnews.ca/news/4430870/women-manufacturing-sector-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