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친화적 중소가족농 지원모델 개발과 성 인지적 분석: 강소농 선정 농가를 중심으로
        구분 수탁 분야 노동/경제
        연구자 김둘순/김동식/박건표
        발간년도 2014
        수탁연구과제 결과물은 수탁기관의 승인 없이 전문을 제공할 수 없습니다.

        목    차


        Ⅰ. 서 론 1

        1. 연구목적 및 필요성 3
        가. 목 적 3
        나. 필요성 3

        2. 연구 추진체계 10

        3. 연구내용 및 연구방법 11
        가. 연구 주요내용 11
        나. 연구방법 12

        4. 기대효과 13


        Ⅱ. 중소가족농의 일반특성 및 성 인지적 성과분석 논의 15

        1. 중소가족농의 일반특성과 젠더 이슈 17
        가. 중소가족농 개념 정의 17
        나. 중소가족농의 가치와 현황 22
        다. 중소가족농과 젠더 이슈 25

        2. 중소가족농 지원사업의 일반특성 33
        가. 도입배경 및 목적 33
        나. 사업대상 특성 34
        다. 사업내용 38
        라. 사업 추진체계 41
        마. 강소농 사업현황 41

        3. 강소농 사업 추진 성과 및 성 인지적 분석틀 42
        가. 강소농 사업 추진 성과 측정지표 42
        나. 강소농 육성사업 성과에 대한 성 인지적 분석틀 45


        Ⅲ. 중소가족농 지원사업 성과분석 47

        1. 설문조사 조사개요 49

        2. 사업 참여 농업인의 성별 만족도 및 정책 요구 51
        가. 문항 신뢰도 검사 51
        나. 응답자 일반적 특성 52
        다. 영농 경력 및 농업 소득, 참여 조직체 57
        라. 강소농 육성사업 이해 및 참여 경로 62
        마. 강소농 육성사업 교육 참여 경험 및 만족도 67
        바. 농업기술센터 지원 받은 경험 및 만족도 74
        사. 강소농 육성사업 참여 태도 79
        아. 강소농 육성사업 참여 후 변화 80
        자. 문제점 및 지원 요구 82

        3. 연구모형 및 분석 90
        가. 연구모형 관련 선행연구 고찰 90
        나. 연구가설 설정 및 모형 94
        다. 분석결과 96


        Ⅳ. 중소가족농 지원사업에 대한 성 인지적 분석 115

        1. 성별분리통계 생산·활용현황 117

        2. 성별 요구도 118
        가. 강소농 육성사업 참여 농업인의 사회?문화적 지위 118
        나. 강소농 육성사업 참여농업인의 경제적 지위 119
        다. 강소농 육성사업 성별 인지도 및 참여경로 차이 121
        라. 강소농 육성사업의 교육참여 124
        마. 농업기술센터 지원 현황 및 만족도 성별차이 125
        바. 자율학습공동체 모임 활동 128
        사. 강소농 육성사업에 참여한 본인의 태도 129

        3. 사업수혜에서의 성별 요구 반영 130

        4. 예산배분에서의 성별 요구 반영 133

        5. 성평등을 위한 정책개선안 134
        가. 강소농 육성사업의 성과 134
        나. 개선방안 136


        Ⅴ. 중소가족농 지원사업의 성 인지적 발전을 위한 정책과제 139

        1. 연구결과 요약 141
        가. 농업인 설문조사 기술분석 결과 및 시사점 141
        나. 구조방정식 모델 분석 결과 요약 및 시사점 145

        2. 정책과제 148
        가. 현장 중심 컨설팅 지원 및 사후관리 강화 148
        나. 심화교육 및 현장 중심 신규 교육프로그램 개발 149
        다. 성별특성을 고려한 학습몰입 제고 방안 모색 149
        라. 사업 참여동기 부여 강화 150
        마. 교육 참여 독려 151
        바. 성 인지적 정책개선 과제 152


        · 참고문헌 155

        · 부    록 1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