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 인지(性 認知) 관점(Gender Perspective)에서의 ODA 사업 평가 연구
        구분 수탁 분야 국제협력
        연구자 김은경/이수연/김둘순/김동식/김정수
        발간년도 2014
        수탁연구과제 결과물은 수탁기관의 승인 없이 전문을 제공할 수 없습니다.

        목    차


        Ⅰ. 서 론 1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3

        2. 연구 범위 및 내용 4
        가. 연구내용의 구성 4
        나. 선진 공여국 사례 조사 선정기준 4
        다. 국내 평가대상 사업 선정기준 7

        3. 연구의 방법 8
        가. 연구 추진 방법 8
        나. 성 인지적 관점의 평가에 적용한 방법 10
        다. OECD/DAC의 5대 기준을 적용한 성 인지 관점의 평가 14


        Ⅱ. 국내외 성 인지 ODA 지침 및 사업 사례 15

        1. 선진 공여국의 성 인지 ODA 정책과 지침 17
        가. 스웨덴 17
        나. 캐나다 23
        다. 호주 28
        라. 독일 33
        마. 일본 42

        2. 성 인지 ODA 사업 사례 49
        가. 교육분야 49
        나. 교통/인프라분야 54
        다. 농업분야 57
        라. 보건분야 61
        마. KOICA 성 평등 개발협력 시범사업 64

        3. 소결 67
        가. 선진 공여국의 성 인지 ODA를 위한 제도적 메커니즘 67
        나. 국내외 성 인지 ODA 사업 사례의 시사점 68


        Ⅲ. 국내 주요분야 ODA 사업에 대한 성 인지 평가 71

        1. 교육분야 73
        가. 수원국의 분야별 일반 현황 73
        나. 선정사업 개요와 사후 평가 77
        다. 성 인지적 관점에서의 평가 80
        라. 소결 89

        2. 교통분야 93
        가. 캄보디아의 도로교통 일반 현황 93
        나. 선정사업 개요와 사후 평가 96
        다. 성 인지적 관점에서의 평가 97
        라. 소결 113

        3. 농업 분야 115
        가. 필리핀의 농업분야 현황 115
        나. 필리핀 농촌개발사업 개요와 자체평가 결과 121
        다. 성 인지적 관점에서의 평가 124
        라. 소결 141

        4. 보건분야 143
        가. 수원국의 분야별 일반 현황 143
        나. 선정사업 개요 148
        다. 성 인지적 관점에서의 평가 151
        라. 소결 162

        5. 소결 164
        가. 해당분야 사업과 성인지 관점 통합의 수월성 164
        나. 성 인지 관점이 투입되어야 하는 단계 165
        다. 사업의 질적 완성도에 기여하는 성 인지 관점 165
        라. 성 인지 관점이 통합되기 위한 필수 여건 ? 166


        Ⅳ. 국내 성 인지 ODA 사업의 성과 향상 방안 169

        1. 성 인지 ODA 확대를 위한 법제도 및 정책차원의 정책제언 171
        가. 유·무상 중기계획에 범분야 이슈 중 성주류화 가치에 대한 강조 171
        나. 국가협력전략(CPS)에 성 평등 분야 인지도 제고 173

        2. 성 인지 ODA 확대를 위한 사업 실행차원의 정책제언 175
        가. 유·무상 원조 시행계획 지침에 성 인지 요소 추가 175
        나. 사업주기별 체크리스트와 가이드라인의 매뉴얼화 180

        3. 시행기관 운영차원에서의 정책제언 182
        가. ODA 사업 시행기관별 성 인지 시범사업 도입 182
        나. 기관별로 성 인지 평가 과제 시범 운영 182
        다. 시행기관과 관계부처/위원회에 성 인지 담당관 제도 신설 183
        라. 국내 유무상 시행기관에 대한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훈련실시 183


        · 참고문헌 185

        · 부    록 193
        <부록 1> 국내외 성주류화 우수사례 195
        <부록 2> 캐나다 CIDA의 성 평등 결과 분류 238
        <부록 3> 호주 AusAID의 젠더와 개발 가이드라인 2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