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차 경력단절여성 등의 경제활동실태 시험조사
        구분 수탁 분야 노동/경제
        연구자 김난주/김영숙/강민정/박건표
        발간년도 2015
        수탁연구과제 결과물은 수탁기관의 승인 없이 전문을 제공할 수 없습니다.

        목    차


        Ⅰ. 서 론 1

        1. 연구목적 및 필요성 3

        2. 연구추진체계 6

        3. 연구내용 및 방법 7
        가. 연구내용 7
        나. 연구방법 8


        Ⅱ. 시험조사 추진 9

        1. 제1차 본 조사 대비 2015년 시험조사 특징 11
        가. 조사 대상 및 조사 지역 11
        나. 조사표 작성 지침 및 항목 주요 수정 11
        다. 조사 흐름 및 조사 내용 23

        2. 2015년 시험조사 개요 및 현황 27
        가. 조사개요 27
        나. 조사현황 28

        3. 2015년 시험조사 표본 설계 29
        가. 모집단 29
        나. 표본추출 틀 30
        다. 층화 31
        라. 표본규모 및 배분 31
        마. 표본추출 31
        바. 예비조사구 선정 및 가구추출 32


        Ⅲ. 시험조사 결과 분석 33

        1. 응답자 특성 분석 35
        가. 응답자 유형 분석 35
        나. 응답자 인구사회학적 특성 40

        2. 일자리 분석 72
        가. 경력단절 당시 일자리 72
        나. 경력단절여성의 경력단절 이후 첫 번째 일자리 93
        다. 취업여성의 현재 일자리 126

        3. 구직활동 및 직업교육훈련 분석 167
        가. 경력단절여성의 재취업을 위한 구직활동과 직업교육훈련 167
        나. 비취업여성의 구직활동과 직업교육훈련 187

        4. 사직 및 재취업 의사 분석, 희망정책 분석 202
        가. 취업여성의 사직 의사 202
        나. 비취업여성의 취업·창업 의사 206
        다. 경력유지와 재취업을 위해 바라는 정책 219

        5. 경력단절 분석 222
        가. 경력단절 사유 및 배우자 상황 222
        나. 경력단절 발생 연령 및 일자리 229
        다. 재취업까지 걸린 경력단절 기간 및 임금(소득)차이 233


        Ⅳ. 요약 및 시사점 237

        1. 제2차 경력단절여성 등의 경제활동실태 시험조사 결과 요약 239
        가. 응답자 특성 분석 239
        나. 일자리 분석 244
        다. 구직활동 및 직업교육훈련 분석 251
        라. 사직 및 재취업 의사, 희망정책 254
        마. 경력단절 분석 257

        2. 2016년 제2차 본 조사 추진 시사점 262
        가. 조사 대상 및 조사 지역 262
        나. 시험 조사 결과 반영 조사표 수정 제안 264
        다. 제2차 본 조사 추진 일정 273
        라. 제2차 본 조사 홍보 방안 273


        · 참고문헌 275

        · 부    록 277
        <부록 1> 경력단절여성 등의 경제활동실태 시험조사 조사표 279
        <부록 2> 연도별 소비자물가지수(기준 년도 2010년) 307
        <부록 3> 일자리 분석-경력단절 당시 일자리 308
        <부록 4> 일자리 분석-경력단절 이후 첫번째 일자리 328

        · Abstract 3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