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위기에 따른 취약계층의 변화실태와 사회안전망 평가 및 향후 대책방안 : 가족.문화부문
        구분 기본 분야 가족
        연구자 변화순/김인순/정수연/백혜정
        발간년도 2011
        첨부파일 [협동] (단위 1) 경제위기에 따른 취약계층의 변화실태(가족문화 부문) - 변화순.pdf ( 1.41 MB ) [미리보기]
        Ⅰ. 서 론
        1. 연구목적
        2. 연구내용 및 방법
        3. 연구의 한계점

        Ⅱ. 이론적 배경
        1. 연구의 개념과 범위
        가. 경제위기
        나. 빈곤
        다. 젠더
        라. 사회 안전망
        마. 휴먼뉴딜
        2. 경제위기와 가구빈곤의 변화
        가. 도시가구의 빈곤율 추이(1997년~2008년)
        3. 소득계층과 부부관계
        가. 소득계층과 기혼취업여성의 부부관계
        나. 부부의 가사노동분담과 공평성
        다. 도시빈곤층의 부부폭력과 자녀학대
        4. 빈곤화 과정과 빈곤의 대물림
        가. 빈곤의 세대간 이전에 대한 이론적 논의
        나. 빈곤의 세대간 이전 및 빈곤탈피에 대한 선행연구

        Ⅲ. 소득계층과 부부관계성 패널 조사분석
        1. 조사개요
        가. 조사대상 데이터
        나. 주요변수 측정도구와 연구모형
        2. 조사결과 분석
        가. 1, 2차 여성가족패널 응답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나. 부부관계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다. 결혼만족도와 부부갈등원인 분석
        라. 소결
        3. 취약계층 여성 및 가족을 위한 사회안전망 분석
        가. 취약계층 여성 및 가족을 위한 사회안전망 현황
        나. 문제점 및 정책제언

        Ⅳ. 빈곤의 세대이전 및 청소년의 자립준비 관련 패널 조사분석
        1. 조사개요
        가. 조사대상
        나. 조사절차 및 자료분석
        다. 주요변수의 측정 및 실태
        2. 조사결과 
        가. 연도별 소득계층과 청소년의 가정환경 및 진로 준비도간의 관계
        나. 빈곤의 지속경향과 가정환경, 청소년의 자립 준비도
        다. 과거 빈곤 경험과 현재 자립준비도 간의 관계
        라. 현재 빈곤층 청소년들의 가정환경과 진로 준비도 간의 관계
        마. 소결
        3. 취약계층 아동.청소년안전망 분석 및 개선방안
        가. 취약계층 아동.청소년을 위한 정부의 지원정책
        나. 소결
        Ⅴ. 요약 및 정책제언
        1. 요약
        가. 취약계층 기혼유배우자 여성의 부부관계성과 사회적 안전망
        나. 빈곤의 세대이전 및 청소년의 자립준비와 안전망
        2. 정책제언
        가. 취약계층가족의 사회적 안전망 정책제언
        나. 빈곤의 세대이전 및 청소년의 자립준비와 안전망

        ? 참고문헌
        ??
        Ⅰ. 서론
        □ 연구 목적
        ○제2차 경제위기 속에서의 빈곤가족의 대물림 차단 방안을 도출해내기 위해서 빈곤가족의 특성을 부부관계성, 부부만족도, 부부갈등의 측면에서 뿐만 아니라 가족 및 문화자본의 세대간 이동 흐름을 중요 분석 변수로 간주하여 분석하고자 함

        □ 연구내용 및 방법
        ○여성가족패널 1,2차 데이터를 사용하여 기혼유배우자 여성을 대상으로 부부관계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결혼만족도’와 ‘부부갈등원인’에 대한 집단간 차이를 추가적으로 분석

        ○한국청소년패널 데이터를 사용한 빈곤의 세대이전 및 청소년의 자립준비도간의 관계 분석

        ○취약계층의 여성과 가족 그리고 아동?청소년을 위한 사회안전망 모색

        ○여성가족패널과 한국청소년패널 데이터를 활용한 양적연구를 통해 취약계층 실태를 분석하고, 사회안전망 관련 정책관계자 및 전문가 대상 FGI를 통해 실천적 제안 도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