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성의 육아휴직 활용 및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제도 활성화 방안 연구
        구분 수탁 분야 가족
        연구자 김영옥/이택면/강민정/임희정/나성은
        발간년도 2014
        수탁연구과제 결과물은 수탁기관의 승인 없이 전문을 제공할 수 없습니다.

        목    차


        제1부. 연구개요


        Ⅰ. 서 론 3

        1. 연구 필요성과 목적 5

        2. 연구내용과 방법 7


        Ⅱ. 선행연구와 외국사례 분석 13

        1. 국내 선행연구 15

        2. 남성의 육아휴직 활성화 담론 18

        3. 외국의 남성 육아휴직 활성화 조치 27


        Ⅲ. 주요 결과와 정책시사점 37

        1. 남성의 육아휴직 활용 현황 39
        가. 설문지 조사 결과 39
        나. 초점집단인터뷰 결과 45
        다. 체험수기 내용분석 46

        2.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제도 활용 현황 49
        가. 설문지 조사 결과 49
        나. 초점집단인터뷰 결과 54
        다. 체험수기 내용분석 55

        3. 남성 육아휴직의 활성화 방안 57
        가. 근로자 대상 "남성의 육아휴직 활용 매뉴얼" 개발 57
        나. 기업 대상 "남성의 육아휴직 활용 매뉴얼" 개발 58
        다. 기업의 수용성 제고 조치 59
        라. 제도적 측면에서의 미세 조정 61

        4.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제도 활성화 방안 62


        제2부. 남성의 육아휴직 활용 실태


        Ⅳ. 실태조사 - 남성의 육아휴직 65

        1. 실태조사 개요 67
        가. 조사대상 67
        나. 설문지의 구성 67

        2.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 68
        가. 인구학적 특성 68
        나. 근로 특성 70

        3. 육아휴직의 사용 현황 및 결정과정 74
        가. 육아휴직 사용 현황 74
        나. 육아휴직 결정과정 77
        다. 육아휴직에 대한 주변의 반응 82

        4. 회사 내 육아휴직 현황 88
        가. 회사의 육아휴직 사용 현황 88
        나. 회사의 육아휴직 활성화 지원 현황 92

        5. 육아휴직 사용에 대한 견해 및 향후과제 95
        가. 육아휴직 사용에 대한 견해 95
        나. 육아휴직 활성화를 위한 향후과제 104

        6. 소결 114


        Ⅴ. 초점집단인터뷰 - 남성의 육아휴직 121

        1. 초점집단 인터뷰 개요 123
        가. 초점 집단 구성 123
        나. 질문 가이드 125

        2. 남성 근로자는 왜 육아휴직 활용에 소극적인가? 126
        가. 남성 육아휴직에 대한 일반화된 거부감 126
        나. 대체인력 구인의 어려움 127
        다. 휴직자와 경영진간 상호 불신 130
        라. 휴직급여의 적정성 문제 130
        마. 인사고과상 불이익 가능성에 대한 우려 131
        바. 특정 직무나 직군은 업무 특성상 활성화의 어려움 133
        사. 홍보 부족 134

        3. 남성 육아휴직 활성화를 위한 조건 135
        가. 경영진과 근로자의 상호신뢰 구축 135
        나. 최초 남성 육아휴직자에 대한 사례관리 136
        다. 육아휴직의 당위성과 장점 홍보 137

        4. 소결 138


        Ⅵ. 체험수기 내용분석 - 남성의 육아휴직 141

        1. 남성의 육아휴직제도 이용 동기 143
        가. 양육 공백 메우기 143
        나. '좋은 남편'이 되려는 노력 146
        다. 일·가정 양립 추구 146

        2. 남성의 육아휴직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49
        가. '1호 이용자'라는 부담감 149
        나. 비우호적인 직장 문화 151
        다. 소득 감소에 대한 우려 156
        라. 정상궤도 이탈에 대한 두려움 157

        3. 남성의 육아휴직제도 진입 과정 159
        가. 관련 정보에 대한 체계적 접근방식의 부재 159
        나. 소득 감소로 인한 경제적 어려움 161
        다. 가족친화적 직장 문화의 중요성 162

        4. 남성의 육아휴직제도 이용에 따른 부정적 효과 166
        가. 경력 단절에서 오는 불안감 166
        나. 육아휴직기간 종료 후 업무 적응의 어려움 170

        5. 남성의 육아휴직제도 이용에 따른 긍정적 성과 172
        가. 양육 및 가사노동 참여 확대 172
        나. 자녀와의 관계 개선 174
        다. 성 평등한 남성으로의 변화 177
        라. '남성 육아휴직 1호 이용자'로서 제도 확산에 기여 181

        6. 소결 183


        제3부.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제도 활용 실태


        Ⅶ. 실태조사 -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제도 189

        1. 실태조사 개요 191
        가. 조사대상 191
        나. 설문지의 구성 191

        2.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 192
        가. 인구학적 특성 192
        나. 근로 특성 194

        3.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제도 사용 계기 및 결정과정 199
        가.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제도 사용 계기 199
        나.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제도 결정과정 201

        4.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제도 사용 현황 206
        가.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제도 사용 실태 206
        나. 회사의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제도 운영방식 212

        5. 회사 내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제도 현황 215
        가.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제도 사용 현황 215
        나. 회사의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제도 활성화 지원 현황 220

        6.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제도에 대한 견해 및 향후과제 222
        가.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제도 사용에 대한 견해 222
        나.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제도 활성화를 위한 향후과제 231

        7. 소결 236


        Ⅷ. 초점집단인터뷰 -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제도 241

        1.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제도 활성화 방안 FGI 243
        가. 초점집단 구성 243
        나. 질문 가이드 245

        2.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제도 활용 현황 246
        가. 일반적 활용 현황 246
        나. 단축제 활용에 대한 근로자의 태도 247

        3.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제도 이용이 활발하지 못한 이유 249
        가. 대체근무 관련한 매뉴얼이나 시스템 부재 249
        나. 동료 전일제 근로자의 반감 249
        다. 임금체계에서 비롯되는 장애요인 250
        라. 급여 손실 250
        마. 근로자 개인 맞춤형 인사관리로 인한 비효율 251
        바. 중소기업에겐 확산되기 어려운 제도 251

        4.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제도 활성화의 조건 252
        가. 근로자의 조직충성도·생산성 향상 252
        나. 시간비례 급여 환산시 집중근무를 고려한 가중치 부여 253
        다. 법제화 통해 육아휴직과 같은 강제성 부여 253
        라. 대체인력 채용 대신 추가 근무하는 동료에 인센티브 제공 254
        마. 사내 최초 이용자(혹은 팀)에 대한 사례관리 254
        바. 홍보와 교육 강화 255

        5. 소결 256


        Ⅸ. 체험수기 내용분석 -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제도 257

        1.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제도 이용 동기 259
        가. 양육 공백 메우기 259
        나. 경력 단절에 대한 우려 260
        다. 회사의 권유 261

        2.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제도 진입 과정 262
        가. 제도에 대한 낮은 인지도와 홍보 부족 262
        나. 조직 내 최초 이용자라는 부담감 263
        다. 가족친화적 직장 문화의 중요성 265

        3.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제도 이용 형태와 이용 과정에서의 어려움 267
        가.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제도 이용 형태: 시간단축형 선호 267
        나. 제도 이용에서의 어려움: 높아진 노동 강도와 업무상의 불이익 268
        다. 기타 개선점 270

        4.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제도의 긍정적 성과 273
        가. 가족생활 만족도 증가 273
        나. '1호 이용자'라는 사명감 274

        5. 소결 275


        · 참고문헌 279

        · 부    록 2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