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극적고용개선조치 제도의 여성고용 효과 분석
        구분 기본 상태 완료
        담당자 김난주 연구기간 2020-01-01 ~ 2020-10-3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장기시계열 분석으로 2006년 이후 2019년까지 여성고용 및 여성관리자 변화에 대한 분석과 2013년 이후 적극적고용개선조치 제도 변화가 대상 기업의 여성고용 및 여성관리자 현황에 미친 영향 분석
         □ 적극적고용개선조치 기업을 대상으로 조직의 성별다양성이 조직 성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 공공부문 여성인력 활용의 적극적고용개선조치 효과성 제고를 위한 방안 제안
         □ 분석 결과를 통하여 적극적고용개선조치를 통한 여성고용률 제고, 여성관리자 및 임원 확대 정책 제안


        [주요 연구내용]
         □ 적극적고용개선조치 선행 연구 분석
         □ 적극적고용개선조치 도입 이후 여성노동시장 장기시계열 분석
          - 2006~2019년까지 여성노동시장의 여성고용비율과 여성관리자 현황 분석
          - 2013~2019년 적극적고용개선조치 대상 사업장 업종별 규모별 직급별 남녀 현황 분석
         □ 적극적고용개선조치 여성고용효과 분석
          - 분석방법 : 이중차분법(Difference in difference) 및 회귀 단절 모형(Regression Discontinuity) 분석
          - 분석내용 : 여성 근로자(관리자)의 고용 비율 준수와 여성고용(공공기관/민간기업)
          - 분석자료 : 적극적고용개선조치 행정 DB 등
         □ 적극적고용개선조치 대상 기업의 성별다양성과 기업 성과 분석
          - 분석방법 : 최소자승추정법(ordinary least squares, OLS)
            ※ Kanter(1977), Frink 외(2003) 분석방법 준용
          - 분석내용 : 균형 조직 측면에서 여성 고용 비율과 기업 성과
          - 분석자료 :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https://dart.fss.or.kr/ 기업 사업보고서
         □ 적극적고용개선조치 대상 기업 인사담당자 FGI
          - 공공기관 및 지방공기업 적극적고용 측면에서 인사관리 현황
         □ 여성고용률 제고, 여성 임원 및 여성관리자 확대를 위한 정책 제언


        [연구 추진방법]
         □ 문헌 연구
         □ 통계자료 분석
          - 전국사업체조사(통계청), 사업장노동실태현황(고용노동부), 고용형태별근로실태조사(고용노동부) 등
          - 적극적고용개선조치 기업 행정 DB 등
          -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https://dart.fss.or.kr/) 공개 기업 사업보고서
         □ 적극적고용개선조치 대상 공공부문 사업장 인사담당자 FGI
          - 표집기준 : 여성관리자 비율, 공공부문 유형(40개사 40명)
          - 조사내용 : 기업 인사 관리, 적극적고용개선조치 제도 수용성 및 효과성 등
         □ 전문가자문회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