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나다,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른 여성의 경제활동 감소에 대한 정책적 대응 요구 높아
        등록일 2020-12-14

        캐나다, 코로나19 여파 여성의 경제활동 감소에 대한 정책적 대응 요구 높아 

        김양숙 캐나다 토론토대학 사회학 박사과정

        • 캐나다에서는 코로나 2차 확산과 장기화의 여파가 여성, 특히 젊은 여성들의 경제활동에 특히 가혹한 것으로 조사됐다. 2020년 12월 4일 캐나다 통계청이 발표한 고용통계에 따르면, 15세~24세 청년층 실업률이 타 연령대에 비해 높은 가운데, 특히 여성 실업률이 높은 상황이 지속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에 의하면 2020년 11월, 15세에서 24세 사이 연령대에서 10월 대비 0.9% 고용률의 증가가 있었다. 같은 연령대 실업률 또한 1.4%p 하락하여 17.4%로 감소하였다. 이러한 추세는 표면적으로 이 연령대 청년들의 경제활동이 소폭이나마 회복되고 있다고 보일 수 있으나, 통계청은 이러한 회복세를 남성들의 경제활동이 부분적으로 회복된 결과라고 해석했다. 지난달 이 연령대의 남성 고용이 대폭 증가한 반면 여성들의 고용에는 거의 변화가 없었기 때문이다. 2020년 3월 말, 캐나다 사회가 대대적인 셧다운에 들어간 이후 사회 초년생인 이 연령대의 타격이 컸으나, 하반기 들어 건설 현장 등 다양한 현장 노동직들이 서서히 활기를 되찾으면서 남성들의 실업률은 회복세를 보이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실제로 2020년 11월 건설직의 고용율은 7월 이후 최초로 증가세를 보여 26,000건의 고용을 창출했다. 운수업과 창고업도 11월 2.1% 상승률을 보였다. 그러나 이 연령대 여성의 취업률은 올해 2월에 비교해 11% 낮은 수준을 꾸준히 유지하였고 남성들의 경제활동이 부분적으로 회복된 11월에 들어서도 큰 변동이 없었다.
        • 이렇게 확연한 경제활동 회복에서의 성별 격차는 캐나다의 포스트 팬데믹 경제 회복 계획에 젠더 관점을 고려해야 한다는 주장에 설득력을 더하고 있다. 토론토 스타(Toronto Star)지는 정치권과 시민사회 전문가들의 의견을 빌어 여성에게 기대되는 돌봄의 의무가 팬데믹 상황에서 여성의 경제적 선택지를 더욱 축소시키고 있고 이는 특히 젊은 여성, 비 백인, 그리고 새로운 이민자들에게 가장 가혹한 영향을 끼치고 있다고 해석했다. 관광, 레저, 서비스업은 청년층, 특히 젊은 여성들이 경제활동을 시작하는 주된 경로인데 이들 산업이 장기적으로 사실상 마비상태에 있게 됨에 따라 사회 초년생 여성들의 실업 또한 장기화되고 있다는 것이다. 9월까지는 진정세였던 코로나 사태가 10월부터 2차 확산 사태에 들어섬에 따라 온타리오 곳곳에서는 다시 식당과 카페 등에서 매장 내 취식을 금하는 조치가 취해졌다. 소매업, 문화, 레크레이션, 숙박, 요식업 산업에는 2019년 기준 청년 고용의 25.4%가 집중되어 있는데, 통계청은 이번 2차 위기의 파장이 3월 1차 위기에 맞먹는 강도라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 한편 캐나다 주정부들은 일자리 창출을 통한 경제회복에 힘을 쏟고 있다. 그 결과 11월 온타리오주에서 고용률은 전반적으로 증가했지만, 일각에서는 현 온타리오 정부의 경제 회복 계획이 표면적으로 나타나는 실업률 감소에만 치중한 나머지 일자리 창출에만 매몰되어 있고 어떻게 교육과 돌봄에 투자하여 여성들을 일터로 돌아오게 해야 할지에 대한 고민은 전혀 없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 그간 코로나 경제 위기의 젠더적 측면을 강조하기 위해 전문가들은 쉬세션(she-cession)이라는 용어를 사용해 왔다. 실제로 핵심 경제활동 연령대인 25세에서 54세 사이 여성의 고용율은 지난 6개월 동안 변함이 없었는데, 예컨대 11월만 해도 정규직 고용에 소폭 상승 (+1.0%)이 있더라도 여성들에게 집중된 파트타임직에서의 상실분(-5.0%)이 훨씬 컸기 때문이다. 통계청은 핵심 경제활동 연령대 여성들의 경우 9월에 경제활동 참여율이 팬데믹 이전의 수준 근처로 회복한 이후 11월까지(83.8%) 꾸준히 이 수준이 유지되고 있는 반면, 15세에서 24세의 여성들의 경우 3월 이후 장기적인 고실업률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것을 지적하면서, 사회 초년생 여성들이 장기적인 경제적 어려움 속에서 고립될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다. 최근 캐나다에서 장기화된 경제적 어려움 속에서 가정폭력의 피해가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는 것이 큰 화두인 만큼 성별, 그리고 연령별 적절한 정책적 대응이 요구되는 지점이다.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