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전환기의 여성일자리 연구(Ⅰ): 여성의 일과 일자리의 미래
        구분 기본 분야 노동/경제
        연구자 오은진/강민정/정성미/권소영/강경주/길현종/방형준
        발간년도 2021
        첨부파일 [일반] 디지털 전환기의 여성일자리 연구(Ⅰ) - 오은진-보이스아이.pdf ( 12.95 MB ) [미리보기]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내용 및 방법
        3. 연구의 한계 및 용어정리

        Ⅱ. 디지털 전환과 여성 고용
        1. 디지털 전환과 일자리 변화 전망
        2. 국내 정책 동향
        3. 노동시장 동향과 여성고용의 변화
        4. 요약 및 시사점

        Ⅲ. 제조업의 디지털화에 따른 여성일자리 변화
        1. 들어가며
        2. 제조업에서의 로봇 도입에 따른 여성고용의 양적 효과
        3. 로봇 도입의 성별 고용효과에 대한 실태조사
        4. 요약 및 정책과제

        Ⅳ. 보건의료서비스업의 기술변화와 여성 일자리 변화: 간호분야를 중심으로
        1. 들어가며
        2. 기술변화와 여성일자리 특징
        3. 디지털 기술변화에 따른 간호인력의 노동변화 실태조사 결과
        4. 요약 및 정책과제

        Ⅴ. 인공지능산업의 확대와 여성일자리 변화
        1. 들어가며
        2. 인공지능 논의의 전개과정 및 발전방향
        3. 인공지능산업 및 활용실태
        4. 요약 및 정책과제

        Ⅵ. 온디맨드 플랫폼 산업의 디지털화에 따른 여성일자리 변화
        1. 들어가며
        2. 긱 노동(배달 vs 가사)의 현황 및 구조
        3. 긱 노동(배달 vs 가사)에서의 성별 노동실태와 분석
        4. 요약 및 정책과제

        Ⅶ. 정책과제
        1. 디지털 전환에 따른 여성 일자리 미래 설계
        2. 산업별 정책과제
        3. 산업별 여성일자리 특화정책

        참고문헌

        부 록
        [부록 1] 부표
        [부록 2] 산업별 설문지

        Abstract
        1. 서 론
        ○본 연구의 목적은 여성고용과 관련하여 산업의 디지털 전환으로 인해 각 개별 산업별로 달라지는 일하는 방식의 변화가 미래 여성고용의 양과 질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이며 이와 관련하여 우리는 어떤 대안을 가져야 하는 가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있다. 선행연구를 검토한 결과, 언급하는 여성일자리는 감소하는 측면의 내용이 지배적이다. 실제로 WEF는 2016년에 구체적인 여성일자리 감소 규모를 제시하기도 했지만(WEF, 2016), 이런 내용이 아니더라도 미래 노동시장에서도 현재와 같은 성별분업 구조를 유지한다면 노동시장의 성별격차를 해소하고 성평등한 노동시장 구조를 계획하기는 매우 어려울 것이다. 이런 관점에서 본 연구는 세부 산업의 디지털 전환에 따른 여성고용의 미래 예측을 통해 여성고용의 변화와 향후 선제적 정책과제를 제안하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