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여성의 사회적 포용을 위한 정책 대응 방안: 사회 참여 확대를 중심으로
        구분 기본 분야 사회/문화
        연구자 김이선/최윤정/장희영/김도혜/박신규
        발간년도 2021
        첨부파일 [기본] 이주여성의 사회적 포용을 위한 정책 대응 방안 - 김이선-보이스아이.pdf ( 5.58 MB ) [미리보기]
        Ⅰ. 서 론
        1. 연구 배경
        2. 연구목적
        3. 연구내용과 방법

        Ⅱ. 이주여성의 사회 참여 현황과 영향요인 분석
        1. 자료 선정 및 분석 개요
        2. 이주여성 사회 참여 관련 현황
        3. 이주여성 사회 참여 영향요인 분석
        4. 소결

        Ⅲ. 이주여성의 사회 참여 경험과 확대 가능성
        1. 인터뷰 개요
        2. 이주여성의 사회 참여 과정과 가족 환경
        3. 이주여성 중심 모임?활동 참여 경험과 한계
        4. 집단 간 관계를 동반한 사회 참여에 대한 요구와 좌절
        5. 소결

        Ⅳ. 이민자 사회 참여 확대를 위한 해외 정책 사례
        1. 국제사회 차원
        2. 국가와 지방정부
        3. 소결

        Ⅴ. 연구 결과 및 정책제언
        1. 사회적 배제 위험에 직면한 이주여성 집단
        2. 사회 참여의 출발점: 모국인?이주여성 중심의 집단 내 참여
        3. 집단 내부에서 외부로: 사회 참여 영역 확대 요구와 현실
        4. 이주여성의 사회 참여와 가족?사회적 환경의 중요성
        5. 정책제언

        참고문헌

        부    록

        Abstract
        1. 연구개요
        ○이민자의 사회 참여는 이민자 자신과 가족원의 안정적 삶을 위한 기본적 요소일 뿐 아니라 다문화사회의 핵심의제인 이민자 사회통합과 집단 간 관계, 나아가 ‘연령, 성별, 장애, 인종, 종족, 경제적 지위, 이주배경 등으로 인해 불이익에 처한 사람들의 사회 참여 여건을 증진하기 위한 과정’ (UN 2016: 1)인 사회적 포용 차원에서도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사안임.
        ○그런데, 한국사회에서는 이민자의 사회 참여가 축소되고 참여 영역도 이민자 집단 내부에 집중되어 있을 뿐 이민자 집단 외부, 특히 주류집단과의 관계를 동반한 참여는 제한되어 있는 등 이민자의 사회 참여가 긍정적 방향으로 전개될 가능성이 크지 않은 상황임.
        ○이에 본 연구는 한국사회의 대표적인 정착형 이민자 집단으로 본격적인 사회 참여가 기대되는 결혼이주여성에 초점을 맞춰 「전국다문화가족실태조사」 원자료 분석과 이주여성 인터뷰를 통해 사회 참여에 대한 관심과 현황, 구체적인 경험, 장애요인 등을 파악하였음. 또한 사회 참여 확대 가능성을 탐색하고 해외 정책 사례를 참고하여 이주여성의 사회 참여 확대를 위한 정책 방안을 모색하였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