텔레비전 보도와 보도조직의 성분석
        구분 기본 상태 완료
        담당자 정숙경 연구기간 1998-01-01 ~ 1999-02-01

        가. 연구목적
          본 연구는 성 정체성(gender  identity)형성과정에서 영향을 미치는 TV과  보도의
        역할에 주목했다. TV보도는 가정 밖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알게 되고 생생
        하고 현장감 있게 그날 그날의 주요 사건을  전달받음으로써 사회에 대한 공동인식
        을 형성하도록 한다. 이같은  현실에 대한 공공지식(public  knowledge)적 성격에도
        불구하고, 보도가 재현하고 있는  현실에 대한 표상  특히, 여성(혹은 남성)에  대한
        표상(gender representations)은 사람들이 지니고 있는 통상적인 성의식을 재현함으
        로써, 의도하지 않았더라도 결과적으로 공정치  못한 성차별적인 의식을 그대로  유
        지시키거나 강화하는데 기여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을 여성정책적 입장에
        서 고려할 때, 우리 사회에 만연한 성차별 현실을  개선하고자 하는 일환으로, 공정
        한 미디어의 역할과 기능이라는 점에서 TV보도를 분석하고, 이의 문제점을 재고할
        필요가 있음이 역설되어 왔다. 사실, 사회의 성의식을 반영하는 성적 표상은 보도제
        작과정에서 보도조직내의 구성원이 사회적 성에 따른 권력관계 속에서 일하는 과정
        에서 자연스럽게 투영된 성의식의 실천적인 결과라고 할 수  있다. 그러면, TV보도
        에 성은 어떻게 재현되고 있는가? 성적 표상은 객관적이며 공정한가? TV보도의 성
        적 표상이 독립적 사회적 실재로 수용되고  있다고 가정할 때, 성적 표상의  문제점
        은 무엇인가? 유명한  방송학자인 존 피스크(J.Fisk)의  '보도는 남성적이며, 남성이
        남성에게 전하는 메시지로 구성되어 있다'고 주장한다(Fisk,  1994). 이 말은 보도가
        보도생산자들의 구성물임을 고려할 때, 보도는 물론 보도조직이 매우 남성중심적임
        을 시사하고 있다. 따라서 성차별적 미디어의  개선이라는 점에서, 대표적인 영역이
        라고 할 수 있는 보도와 보도조직에 대한 보다 세부적이고 구체적인 연구가 필요하
        다. 본 연구는 TV보도의 파급효과를  고려하여 보도와 보도조직의 성 분석(gender
        analysis)을 통해 ① TV보도의 성적 표상의  내용을 분석하고, ② 문제점을 보도조
        직내의 사회적 성 관계(gender relations)를 심층적으로 살펴봄으로써, ③ 매체의 역
        할과 성불평등의 문제를 재고하고 ④ 성차별을 개선할  수 있는 현실적인 대안으로
        향후과제를 모색했다.

        나. 연구내용 및 방법
          (1) 연구내용
          본 연구의 연구영역은  TV보도(보도는 수용자들이 TV화면을  통해 방영되는 부
        분)와 보도조직(보도를 위해 뉴스거리를 선택하고, 선택한 뉴스거리를 취재, 뉴스기
        사작성 및 편집 그리고 뉴스로서의 반영까지를  포함하는 보도가 제작되는 과정)이
        다. 연구내용은 보도의 성적 표상에 대한  분석으로, 이를 위해 방송 3사의  '종합뉴
        스' 보도프로그램의 내용을 분석했다. 보도조직의  연구내용은 보도조직의 업무특성
        및 조직내 성차별 관행 및 문제점이었다.
          (2) 연구방법
          보도의 성적 표상에 대한 연구를 위한 방법으로는 내용분석이었으며, 내용분석과정
        은 지상파 방송 3사의 종합뉴스프로그램을 일정기간 동안(1998. 9.21∼9.25) 녹화해서
        녹화한 보도프로그램의 내용을 분석항목에 따라 코딩하고, 코딩지침에 따라 분석항목
        을 체크하기 위해 분석보도에 해당하는 보도내용을 여러 차례 반복했다. 한편, 보도조
        직에 대한 연구는 보도제국 종사자를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했다. 심층면접은 일
        대일 혹은 2-3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과 객관화된 형태의 면접지를 사용했다.
         
        다. 연구결과
          연구는 방송 3사의 종합보도프로그램에 대한  보도내용분석과 보도조직 부분으로
        나뉘었는데, 보도에 대한 내용분석 대상은 KBS의 172개,   MBC의 '뉴스데스크' 보
        도의 163개, SBS의 '8시 종합뉴스'보도의 152개로 전체 487개였다. 분석항목은 보도
        주제와 보도주제의 성 분류, 전체보도시간, 보도기자의  보도시간, 보도대상영역, 초
        점보도대상, 앵커와 보도기자, 면접자의 성별비중과 보도형식, 보도기자의  영상재현
        여부 면접거리, 면접자의 영상재현 여부, 화면상의  등장인물 등의 재현방식 등이었
        다.  분석결과, 보도에 있어서 성적 표상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지닌 것으로 나타
        났다. 첫째, 보도주제에 있어서 지나치게 남성관심사 영역에 치중해 있었으며, 상대
        적으로 여성관심사는 매우 적었다. 이  사실은 보도조직내 여성이 소수이고  보도항
        목을 선정할 수 있는 위치에 있지 않다는 '성적 위계구조'와 적지 않는 관련이 있음
        을 시사하였다. 또한 여성을 소재로 보도에 있어서 재현이 부정적인 방식으로 이루
        어지는 경우가 많았는데, 이는 여성재현의 공정성 면에서 큰 문제라 지적하지 않을
        수 없었다. 둘째 보도대상과 초점보도대상의  비중과 재현방식에 있어서 성적  차이
        를 보였다. 보도 대상의 경우, 남성이 많았으며 초점보도대상의 경우도 남성이 절대
        적으로 높았다. 또한 초점보도대상의  성별 특성을 비교했는데,  여성적 특성보다는
        남성적 특성이 지배적이었다.  이는 우리사회에서 남성적  가치가 지배적인  가치를
        지니고 있음을 반영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셋째  보도자를 비교하였다. 보도자가
        보도에서 어떻게 재현되는지는 보도자 역할과 관련하여 성적 이미지를 부여하는 계
        기가 되므로, 보도자로서 여성과  남성이 보도에서 어떻게  재현되는가는 중요하다.
        비교결과, 여성앵커와 남성앵커의 역할,  앵커와 보도기자의 보도 소요시간,  보도기
        자의 영상재현 여부와 방식에 있어서 남성보도자에게  긍정적인 반면에 여성보도자
        에게는 부정적이었다. 즉 여성보도자가 차지하는 보도시간은 적은 반면에 남성보도
        자가 차지하는 보도시간은 많았다. 또한 취재보도의 경우에 있어서도 남성보도기자
        가 여성보도기자보다 현저하게 높았으며,  보도시간도 더 많았는데,  이는 보도국내
        역할분담과 관련하여 성고정 관념이  작용한 결과로 해석할  수 있었다. 그  외에도
        보도내용상 성차별적 요소를 보이거나, 취재원으로서 여성과 남성이 성차별적인 요
        소를 보인 경우가 많았다.
          보도의 공정성은 사회의 공정성을 반영한다. 그런 점에서 보도의 성적 표상에  있
        어서 공정성은 사회의 성  공정성을 바로 세우는 일이라  할 수 있다. 이  맥락에서
        연구결과, 향후과제로, 보도프로그램의  개선을 위한  여성전문모니터팀의 제도적인
        운영을 제안하였다.
         
        라. 기대효과
          여성전문모니터팀의 제도적인 운영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