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여성의 직업훈련 참여실태와 정책과제
        구분 기본 상태 완료
        담당자 신선미 연구기간 2017-01-01 ~ 2017-10-31

        ▣ 연구책임자

         

           신선미 선임연구위원

         

         

        ▣ 연구 목적
        □ 청년여성의 직업훈련 참여현황과 실태 분석을 통해 정책의사결정 지원


        □ 청년여성 대상의 직업훈련정책 제안
           ■ 남녀 청년 모두 참여하는 정부지원 직업훈련사업의 성인지적 개선방안
           ■ 청년여성 특화 직업훈련사업의 필요성 점검 및 정책제안
           ■ 여성청년의 훈련수요와 훈련참여기회 및 사업체 수요 간의 미스매치 개선방안 
           ■ 훈련수요가 큰 취약집단(예, 인문계 고교 졸업 여성청년), 청년여성 취업유망분야의 훈련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정책제안

         

         

        ▣ 주요 연구내용
        □ 청년여성의 직업훈련 참여현황
           ■ 인적특성별 훈련참여 현황 비교 (성별, 연령, 교육수준, 전공계열, 지역 등)
           ■ 훈련목적, 훈련분야, 훈련횟수(시간), 훈련비용, 비용부담자, 훈련기관,
              훈련방법, 참여자의 주관적 평가(도움이 된 정도), 직업훈련에 참여하지 않는
              이유 등에 관한 성별 비교
           ■ 청년여성의 직업훈련분야 및 희망분야와 중장기인력수급전망, 워크넷 구인구직
              통계 비교
           ■ 정부지원 직업훈련사업에 여성 참여 실태
              - 정부지원사업별 청년층 참여자 수, 여성비율
              - 훈련과정의 성인지적 운영 실태 및 여성 훈련생의 애로사항

         

        □ 청년여성의 직업훈련 성과와 문제점
           ■ 취업기회 획득 및 고용의 질 향상에 미치는 영향 분석
              (직업훈련 유형별 비교분석 포함)
           ■ 정부지원 직업훈련 참여자의 취업률(행정통계)
           ■ 주요 정부지원 직업훈련사업에 여성참여 장애요인 및 개선요구사항 

         

        □ 청년여성 대상 직업훈련사업 사례
           ■ 여성새로일하기센터의 20-30대 여성 직업훈련
           ■ 여대생(졸업예정자) 대상 직업훈련
              (대학창조일자리센터, 여성과학기술인지원사업 권역별 센터 등)
               ※ 관계기관의 역할 차이 분석


        □ 청년여성 직업훈련 정책과제 제안
           ■ 청년여성 특화 직업훈련사업의 필요성 점검 및 정책제안
           ■ 남녀 청년 모두 참여하는 정부지원 직업훈련사업의 성인지적 개선방안
           ■ 여성청년의 직업훈련수요와 훈련참여기회 및 사업체 수요 간의 미스매치 개선방안 
           ■ 훈련수요가 큰 취약집단(예, 고졸 비진학 미취업 여성청년), 청년여성 취업유망분야의 훈련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정책제안

         

         

        ▣ 연구추진방법
        □ 문헌분석
           ■ 직업훈련의 정의, 관련 법령, 정부지원 청년층 직업훈련사업 등에 관한 자료
           ■ 중장기인력수급전망, 워크넷 구인구직 통계 보고서
           ■ 청년층 직업훈련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 통계자료 분석
           ■ 청년패널조사(YP2007) 1-8차(원패널 규모 10,206명, 고교생 2,509명, 대학생 2,939명, 취업자 2,128명, 미취업자 1,636명)
           ■ 대졸자 직업이동경로조사(2005GOMS – 2013GOMS), 매년 18,000명 정도 추적조사
           ■ HRD-net DB, 일모아 DB, 기타 정부사업 행정통계 DB(정보공개 범위 내) 

         

        □ 초점집단 면접조사(FGI)
           ■ 정부지원 청년층 직업훈련사업 관계자(10명) 및 수강생(20명)

         

        □ 워크샵 개최(1회)
           ■ 청년여성 직업훈련 참여실태와 개선방안(훈련기관 관계자 발표 및 토론)

         

        □ 전문가 자문회의 운영 
           ■ 관계부처 공무원, 직업훈련정책 전문가, 등

         


        ▣ 기대효과
        □ 예상되는 학술적 기여도
           - 청년여성의 직업훈련 참여기회 및 훈련성과의 성 격차 분석
           - 청년여성의 훈련분야와 인력수요 간의 미스매치 실태 파악
           - 청년층 직업훈련의 고용률 제고효과에 관한 선행연구 메타분석


        □ 예상되는 정책적 기여도
           - 성별, 연령, 교육수준, 전공계열 등 정책대상집단의 특성에 따라 특성화가 부족한 직업훈련정책분야에서 1)청년여성 직업훈련정책 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며,

             2)청년여성 특화 직업훈련정책 방향과 정책과제(예, 고졸 비진학 미취업 여성청년 직업훈련, 여성 취업유망분야 직업훈련 등)를 제안하여 청년여성

             고용절벽 해소에 기여하고자 함.
           - 1)여성청년을 중심으로 훈련수요와 사업체수요 간의 미스매치 개선방안, 2) 기존 직업훈련사업 성인지적 개선방안을 마련하여 정부지원 직업훈련의 성과 제고에

              기여하고자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