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여성 실업실태와 정책과제
        구분 기본 상태 완료
        담당자 전기택 연구기간 2017-01-01 ~ 2017-10-31

        ▣ 연구책임자

         

        전기택 연구위원

         

         

        ▣ 연구 목적
        □ 이 연구의 목적은 장애여성 실업자의 특성, 취업 등 노동시장 이행에 대한 분석, 장애여성의 취업 지원 수요 분석 등을 통해 장애여성 실업자의

           취업 촉진 및 장애여성 고용 방안을 마련하는 것임.
           ■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장애여성 실업자와 미취업자의 특성과 전체 남녀 실업자 및 미취업자와의 비교를 통해 파악하고자 함.
           ■ 또한 장애여성 실업자와 미취업자의 노동시장 이행 분석을 통해 장애여성 실업자의 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 장애여성 실업자의

              취업 지원 수요를 파악하고자 함.
           ■ 위와 같은 장애여성 실업자 현황 및 노동시장 이행 분석과 함께 국외의 장애여성 취업지원 정책의 비교 분석 결과 등을 통해 장애여성 실업 해소에

              필요한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하고, 장애여성 고용 확대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 주요 연구내용
        □ 장애여성 실업 관련 선행연구 분석

         

        □ 장애여성의 실업 현황
           - 장애 여성의 실업 현황
           - 장애 남녀 실업자와 전체 남녀 실업자 비교
           - 장애 남녀 미취업자와 전체 남녀 미취업자 비교
           - 장애여성 실업 상태 결정 요인 분석  

             
        □ 장애여성 실업자의 취업 이행 과정 분석
           - 장애여성 실업자의 특성별 취업 이행 현황 
           - 장애여성 실업자의 취업 이행 요인 분석
           - 장애여성 미취업자의 특성별 취업 이행 현황
           - 장애여성 미취업자의 취업 이행 요인 분석
           
        □ 장애여성 실업자의 취업 이행 이후 일자리 현황 분석
           - 장애여성 실업자의 취업 일자리 특성
           - 장애여성 실업자의 취업 일자리 안정성 분석
           - 장애여성 미취업자의 취업 일자리 특성
           - 장애여성 미취업자의 취업 일자리 안정성 분석

         

        □ 장애여성 실업 관련 정책과제 개발
           - 국외의 장애여성 실업자 지원 정책 비교분석
           - 장애여성 실업자 지원 정책과제 개발

         


        ▣ 연구추진방법
        □ 문헌연구
           ■ 장애여성 실업 관련 연구 현황 분석
           ■ 국외 장애여성 관련 현황 및 정책 비교분석

         

        □ 자료분석
           ■ 통계 원자료 분석
              - 장애인고용패널조사, 장애인 경제활동 실태조사, 장애인 실태조사 등의 원자료
           ■ 장애여성 실업자의 취업관련 실증분석
              - 장애여성 실업자의 노동시장 이행, 실업결정 등에 대한 분석

         

        □ 설문조사
           ■ 설문조사
              - 실업 장애여성의 취업 지원 수요조사
                ·조사대상: 실업 장애여성 200명 내외
                ·조사항목: 장애인 고용정책, 취업 희망 일자리, 장애여성 실업자 지원 방안 등


        □ 전문가 자문회의
           ■ 전문가 자문회의 4회 개최

         

         

        ▣ 기대효과
        □ 예상되는 학술적 기여도
           - 장애와 여성이라는 이중의 차별에 노출된 장애여성 실업자의 노동시장 이행 실태 파악을 통해 장애여성 고용 확대 연구 수행에 기여함.
           - 대표적인 취약집단여성인 장애여성의 실업 실태와 노동시장 이행 연구를 통해  취약집단여성 정책 연구 활성화에 기여함.

         

        □ 예상되는 정책적 기여도
           - 장애여성 실업 현황 파악 및 정책 지원 방안 마련을 통해 장애여성 실업자 지원대책 의 효율적인 시행에 기여함.
           - 장애여성 실업자의 특수성을 반영한 정책 방안 도출을 통해 장애인 고용정책의 성인지성 제고에 기여함.
           - 장애여성 실업자의 취업 이행 분석을 통해 장애여성의 고용확대 정책의 실효성 제고에 기여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