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가능한 돌봄정책 재정립방안 연구(Ⅱ): 여성·가족 관점의 돌봄정책 추진전략
        구분 기본 상태 완료
        담당자 김은지 연구기간 2018-01-01 ~ 2018-12-31


        ▣ 연구책임자

           ○ 김은지 연구위원


        ▣ 연구 목적
          ○ 본 연구의 1차년도에는 돌봄노동의 탈가족화 현황진단 및 한국형 돌봄정책모형을 제시하며, 2차년도에는 보다 구체적인 장단기 추진전략을 개발함
            - 1차년도에는 분석프레임을 개발하여 정책을 맵핑하며, 이 프레임 위에서 정책 현황을 분석하고, 한국형 돌봄정책 혼합모형을 모색함.
            - 2차년도에는 이와 같은 돌봄정책모형 실현을 목표로, 정책 영역별로 보다 구체적인 장단기 추진전략을 개발함. 
         
         
        ▣ 주요 연구내용
         □ [1차년도] 돌봄노동의 탈가족화 현황 진단 및 한국형 돌봄정책모형 제시
          ○ 돌봄노동의 탈가족화·공식화 수준에 따른 한국의 돌봄정책 맵핑
            - 돌봄정책의 대상과 범위에 따른 정책 맵핑
            - 돌봄정책의 정책목표 및 정책방향 분석, 모순지점 규명
         
          ○ 돌봄정책 유형별 정책현황 분석
            - 이용자 현황 분석
            - 공급자 및 정책 현황 분석
         
          ○ 한국의 돌봄정책 수립과정에 대한 제도사 분석 및 해외사례 연구
            - 한국사회 돌봄정책 제도사 고찰
            - 기존 돌봄정책 연구 메타분석
            - 돌봄정책 영역별 해외사례 검토
         
          ○ 한국형 돌봄정책 혼합 모형 모색
            - 지속가능한 돌봄정책 방향 제시
         
         □ [2차년도] 돌봄정책 영역별 장단기 추진전략 개발
          ○ 단계적 정책개발 전략 제시
            - 아동돌봄, 노인돌봄 등 돌봄정책의 단기, 장기적 정책개발 추진전략 제시
            - 정책방안을 실제 반영하기 위한 각종 기본계획 방향 제시
         
          ○ 정책영역별 세부 정책과제 개발
            - 정책대상별, 탈가족화·공식화 수준별 정책방안 제시
            - 법률적 보호수준, 예산편성방향 등 정책추진체계의 개선방안 제시
         
         
        ▣ 연구 추진방법
         □ 문헌연구 및 정책대안 개발
          - 1차년도의 분석틀 및 정책 맵핑(mapping) 결과 검토
          - 돌봄정책 영역별 법률·시행령 및 예산, 정책대상자 등 정책 현황 분석에 기반한 구체적인 정책안 개발
          - 각종 기본계획의 돌봄정책 계획 분석에 기반한 장기적 정책대안 개발
         
         □ 전문가 라운드테이블 운영 및 자문회의 실시
          - 돌봄정책 대상별, 영역별 연구자, 실무자, 정책입안자 등으로 전문가그룹 구성
            ※ 육아정책연구소 등 관련 기관 전문가 포함
          - 상시적 전문가 라운드테이블(가칭 ‘돌봄정책 플랫폼’) 구성, 운영
          - 정책개발방향에 대한 영역별 전문가 의견수렴
         
         □ OECD 돌봄정책 연구팀 면담 및 한국 사례발표 세미나 개최
          - OECD 아동돌봄 Babies and Bosses 프로젝트팀, 노인돌봄 Help Wanted?(Long Term Care) 프로젝트 팀 등 면담 및 한국 사례발표 세미나 개최
         
         □ 협업연구를 통한 연구 질 제고 및 연구성과 확산
          - 돌봄정책 연구의 전문가그룹(산·학·연 등)과의 협업 연구를 통한 연구 질 제고
          - 토론회 공동개최 및 발표(한국사회정책학회, 한국가족학회 등)
          - 학술논문게재를 통한 연구성과 확산(한국사회정책학, 가족과문화, 한국사회학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