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회의 젠더와 건강 불평등 연구(III): 외모강박과 미용성형을 중심으로
        구분 기본 상태 완료
        담당자 김동식 연구기간 2019-01-01 ~ 2019-12-3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다양한 대중 매체 속에서 여성의 몸은 성상품화되고 있고, 이러한 것이 여성의 평가하는 중요한 사회적 기준이 되면서, 전 분야에서 여성의 외모에 대한 차별과 그로 인한 미용성형 시술자가 크게 늘어나고 있고, 외모강박증과 왜곡에 따른 섭식장애를 호소하는 환자수도 동반 증가하면서 사회적 비용부담이 커져가고 있음
         □ 한국사회의 성별화된 외모로 대한 여성과 남성의 인식과 그로 인한 외모 차별과 피해 및 강박과 왜곡에 의한 극단적인 다이어트와 미용성형 시술 실태와 부작용 등 의료사고, 그리고 섭식장애 및 우울증 등 건강과의 연관성을 파악하여, 미용성형 관련 법·제도적 및 사회적 개선방안을 모색
          
        [주요 연구 내용]
         □ 한국사회의 외모중시와 성별화된 외모 가치로 인한 외모 차별 및 외모강박 현상 분석
          - 한국사회에서 외모의 의미와 가치, 중요성
          - 성별화된 외모의 개인과 사회적 가치 인식과 외모 관련 차별과 성적 대상화 경험 실태
          - 성별화된 외모에 의한 강박 및 왜곡 현상, 관련 사회적 원인 분석
         □ 한국사회의 외모강박에 따른 다이어트 및 미용성형 실태와 신체적·정신적 건강 분석
          - 외모강박 및 왜곡에 따른 긍정(신체활동·영양 등)과 부정(다이어트 및 미용성형 시술 등)적 측면의 외모관리 및 섭식장애와 우울감 등 신체적·정신적 건강 실태
          - 다이어트 및 미용성형 시술 과정에서의 어려움 및 신체적·정신적 부작용 경험과 대응, 2차 피해 분석
         □ 국내외 미용성형 관련 법·제도 현황 분석 및 시사점 도출
          - 국내 미용성형 관련 법령(의료법, 표시광고법 등) 및 제도(의료광고 사전심의제도, 의료(관광)산업 육성 지침 및 심사 기준, 의료인 자격기준 등)에 관한 젠더 및 건강 측면에서의 문제점 분석
          - 해외 미용성형 관련 법·제도 사례 검토 및 젠더/건강 측면의 시사점 도출
         □ 1~3차년도 연구결과에 근거한 한국사회 여성건강의 중요 이슈에서의 젠더 불평등 완화를 위한 통합적 정책 방안 모색

         

        [연구추진 방법]
         □ 문헌 연구
          - 외모와 젠더 관련 국내외 선행연구 및 이론 고찰
          - 국내외 미용과 성형 관련 법령, 제도 및 정책사업에 관한 문헌 정리 및 검토 
          - 최근 의원발의 법률안, 공정거래위원회, 국가인권위원회 및 한국소비자원 등의 시정명령 및 관련 문서 검토

         □ 2차 자료 분석
          - 국제 및 국내의 미용·성형 및 관련 건강 통계(2차자료 등)를 통해 본 한국사회의 미용·성형의 현황과 건강 문제 분석
          - 노년기 미용·성형 및 관련 건강실태 조사 자료 분석(본 과제 2차년 조사자료 일부 활용)
          - SNS상의 성별화된 외모와 그로 인한 강박과 왜곡 현상, 다이어트 및 미용성형에 관한 고민과 시술 경험, 관련 부작용과 건강 문제에 관한 상담자료 분석 
         □ 실태조사
          - 조사대상: 15세 이상 64세 이하의 일반 국민 남녀 2,500명
          - 표본추출: 성별, 연령 및 지역별 인구구성을 고려할 표본 추출
          - 조사방법: 온라인 조사
          - 청소년/청년기(15~29세)와 중장년기(30~64세)가 지닌 특수성 및 충분한 조사표본 확보를 위해 생애를 구분, 독립적인 조사 실시  
          - 조사내용: 본인과 사회의 외모에 관한 인식과 가치의 차이, 외모 차별 및 성적 대상화 경험, 외모 왜곡과 원인, 다이어트 및 미용성형 경험과 중독성, 부작용 등 피해, 미용성형 전후 일과 삶의 변화와 만족도, 섭식장애 및 우울감/자살충동 등
         □ 전문가 자문회의 개최
          - 연구 방향 및 방법, 설문지와 정책과제 개발 자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