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발전에 따른 여성 일자리 전망과 대응전략(Ⅱ): 플랫폼 일자리를 중심으로
        구분 기본 상태 완료
        담당자 오은진 연구기간 2019-01-01 ~ 2019-12-3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산업현장의 디지털 전환에 따른 중장기 여성 일자리를 전망하고, 여성노동이슈를 발굴
         □ 네트워크 혁명에 따른 플랫폼 노동의 범위를 규정하고, 이와 관련한 노동의 특성을 여성노동 관점에서 분석
         □ 성평등적 관점에서 플랫폼 노동 실태를 기업과 근로자 입장에서 분석하고 이를 통해 여성노동이슈를 발굴하여 여성을 위한 사회적 보호체계와 관련한 선제적 정책 과제 제안 
          
        [주요 연구 내용]
         □ 1차년도: 일자리 전망 및 숙련수요 전망 선행연구 검토
          - 1990년대 컴퓨터와 일자리 변화에 관한 연구 검토
          - 4차 산업혁명 관련한 일자리 및 숙련수요 전망 선행연구 결과
          - 일자리·숙련수요 전망에 따른 미래 여성고용 전망관련 연구 결과
         □ 1차년도: 기술발전에 따른 여성일자리 전망
          - 최근 20년간 여성일자리 변화의 주요 특징 및 일자리 변화추이 분석
          - 산업별 직업별 여성고용 전망(한고원 중장기 인력수급전망에 기초) 
          - 신 직업분야의 여성고용 전망
         □ 1차년도: 숙련수요 변화에 따른 여성의 역량개발 방향 
          - 최근 10년간 여성인력 신규인력 공급 추이 분석
          - 숙련(skills) 수요 변화와 여성의 역량개발 방향
         □ 1차년도: 중장기 여성인재육성 및 고용확대 전략과 정책과제 제시
          - 여성인재육성, 여성고용정책 정책 전략과 정책과제 우선순위
         □ 2차년도: 기술발전과 플랫폼 노동, 그리고 여성노동에 관한 선행연구 검토
          - 여성주의 기술연구(Feminist Technology Studies) 동향
          - 플랫폼 노동의 발전과 문제점과 관련한 선행연구검토
         □ 2차년도: 프리랜서, 특수고용 및 비공식 노동의 규모와 관련한 통계자료 분석
          - 지역 별 고용조사 및 관련 자료 분석을 통해 관련 노동 규모와 추이 파악
         □ 2차년도: 선행 플랫폼 노동 실태조사 자료의 2차 분석 활용
         □ 2차년도: 플랫폼 노동에서의 여성노동 실태 조사 결과 분석
         □ 2차년도: 향후 플랫폼 노동의 향후 일자리 창출 가능성과 여성노동자의 경력개발 및 사회적 보호체계를 위한 정책 방안 제시

         

        [연구추진 방법]
         □ 문헌자료 분석 
          - OECD 자료 및 영국, 프랑스 등의 네트워크 일자리 관련 제도화 과정 검토
         □ 통계자료 분석 
          - 프리랜서, 특수고용 등 비임금근로자 규모 분석
          - 외국의 네트워크 노동과 관련한 실태분석(OECD자료 등 참고)
          - 기존 네트워크 실태조사 원자료 재분석(한고원 자료 활용을 위해 협의 중)
         □ 설문조사
          - 대상: 플랫폼 노동 기업(온디맨드 기업과 크라우드워크 제공기업 대상)과 근로자 
          - 조사대상 기업 규모: 30 기업 이내
          - 기업 대상 설문내용: 설립배경, 기업성장, 매출, 근로자 관리, 수익모형, 향후계획 
          - 조사대상 근로자 규모: 200명 이내
          - 근로자 대상 설문내용: 참여 경로, 노동형태, 필요한 사회적 보호체계, 능력개발 등
         □ 전문가 집담회(FGI)
          - 플랫폼 노동 관련 전문가, 플랫폼 기업 관리자, 플랫폼 노동 참여 근로자, 플랫폼 노동 전환에 있는 오프라인 기업 관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