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여성의 다양성과 정책 재구성 방향
        구분 기본 상태 완료
        담당자 김이선 연구기간 2019-01-01 ~ 2019-10-3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국내외 여성이주 추세 속에서 이주여성의 다양성을 조명하고 이주여성 이슈와 정책의 전개 방향을 파악하여 이주여성 정책의제의 향방을 가늠하고 정책의 재구성 방향을 모색
         □ 제도적으로 가능한 활동 범위(취업 가능성), 정주 가능성 여부, 정책과의 관련성 등 정책적으로 중요한 변수를 중심으로 이주여성 세부집단별 생활실태와 지원 요구 등을 비교분석함으로써 다양한 이주여성의 현실을 파악하고 정책적 접근이 요구되는 과제를 구체화
         □ 다양한 이주여성 집단과 기존 정책의 관계성을 비판적으로 검토함으로써 여성결혼이민자, 다문화가족에 편중된 기존 정책의 한계를 벗어나 보다 다양한 이주여성 집단의 존재에 부합하는 정책 접근 방향 모색

         

        [주요 연구 내용]
         □ 성별 이주 추세와 여성 이주의 전개 방향
          - 등록 외국인 성별, 이주유형별 추이
         □ 동아시아 주요 국가의 이주여성 이슈와 정책 방향
          - 외국인 가사노동자, 돌봄노동자 등 해당 국가에서 최근 사회적으로 부각되는 이주여성 이슈
         □ 주요 이주여성 집단의 현황과 정책과제
          - 주요 이주여성 집단의 생활실태 비교
          - 사례를 통해 본 이주여성의 현실과 정책 요구
         □ 이주여성의 다양성에 관한 향후 정책 방향
          - 이주여성의 다양성, 주요 이주여성 집단의 정책 요구에 대한 기존 정책 분석
          - 이주여성의 다양성을 포괄하고 주요한 정책 요구에 부응하기 위한 정책 재구성 방향

         

        [연구추진 방법]
         □ 외국인, 이민자 관련 원자료 분석
          - 2008-2017(또는 2009-2018) 출입국통계연보(법무부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 분석
          - 2017(또는 2018) 이민자체류실태·고용조사(통계청) 원자료
         □ 동아시아 주요 국가의 이주여성 이슈에 관한 사례연구 및 문헌리뷰
          - 여성 이주 추세, 이주가사노동자 등 주요 이주여성 집단에 관한 문헌 리뷰
          - 일본, 홍콩 사례연구
         □ 국내체류 이주여성 인터뷰(20명)
         □ 주요 이주여성 집단 관련 단체 활동가 FGI(15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