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군 ‘위안부’ 기록물 발굴·정리·해제사업 - 일본군 ‘위안부’를 둘러싼 국내외적 환경에 대한 연구
        구분 수탁 분야 사회/문화
        연구자 장미혜/이미정/전혜상/동제연/정지연/도시환/이진아/전희진
        발간년도 2017
        수탁연구과제 결과물은 수탁기관의 승인 없이 전문을 제공할 수 없습니다.

        목    차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2. 연구 내용 및 방법 5
        가. 사업 수행체계 5
        나. 연구수행 범위와 내용 7
        다. 팀별 사업 세부계획 8
        라. 월례포럼 개최 11

        Ⅱ. 국내외 선행연구 및 식민지 조선의 사회경제적 배경 검토 13

        1. 국내 일본군 ‘위안부’에 대한 자료와 연구물 15
        가. ‘위안부’ 관련 1차 국내 기록물 15
        나. 일본군 ‘위안부’ 관련 연구와 연구에 사용된 1차 자료들 18
        다. 선행연구의 의의 및 기록물 수집 및 정리 연구(사업)의 필요성 26

        2. 외국 선행연구 검토 27
        가. 시간적 차원에 따른 분류 28
        나. 1차 방법론에 따른 분류 32
        다. 분석대상에 따른 분류 35

        Ⅲ. 식민지 조선상황과 국제관계 39

        1. 식민지 조선의 사회경제적 배경 41
        가. 인구의 증가 42
        나. 여성 인구의 증가 45
        다. 인구의 자연적 증가 및 사회적 증가 48
        라. 지역별 인구 분포 50
        마. 직업별 인구 구성 52
        바. 도시화 60
        사. 교육 62
        아. 소결 65

        2. 식민지 조선을 둘러싼 국제관계 67
        가. 1910년대 식민지 조선의 국제관계 70
        나. 1920년대 식민지 조선의 국제관계 76
        다. 1930∼1945년 식민지 조선의 국제관계 82
        라. 소결 90

        Ⅳ. 조선인 ‘위안부’를 둘러싼 제국의 시선과 언어 95

        1. 제국의 섹슈얼리티 관리와 조선 여성의 문화적 위치 98

        2. 시각적 여성 표상과 말할 수 없는 조선의 소녀 101

        3. ‘위안부’를 향한 일본인 병사의 시선과 언어 104

        4. 소결 112

        Ⅴ. 식민지 시기 ‘위안부’ 동원의 맥락들 113

        1. 만주사변 이후 일제의 강제 동원의 상황 115
        가. 강제동원을 위한 포석 115
        나. 생활개선캠페인 118

        2. 노동자, 군인되기: 제국을 위한 동원 120

        3. 총후부인과 ‘위안부’ 122
        가. ‘위안소’의 설립 122
        나. ‘위안부’의 동원: 중국, 대만, 동남아시아의 경우 123
        다. 조선에 있어서의 ‘위안부’ 동원의 경제적 조건  128
        라. ‘위안부’에 대한 동원의 방식 132
        마. 총후부인 138

        4. 소결 140

        Ⅵ. 일본군 ‘위안부’ 기록물 사업의 의의와 향후 과제 143

        1. 국제인권법의 관점에서 본 일본군 ‘위안부’ 기록물 사업의 의의: 다큐멘테이션을 통한 과도기 정의(transitional justice)의 이행을 중심으로 145

        가. 중대한 인권침해 상황에 대한 과도기 정의의 이행 147
        나. 일본군 ‘위안부’ 문제의 다큐멘테이션과 과도기 정의 이행을 위한 활용방안 149
        다. 다큐멘테이션을 통한 Memorialization 164
        라. 소결 167

        2. 국내 증언자료 및 해외 자료 수집?해제 작업의 소개와 의의 168
        가. 국내 증언자료 수집 및 해제 작업의 소개와 의의 168
        나. 해외 자료 수집 및 해제작업의 소개와 의의 170

        3. 일본군 ‘위안부’ 연구의 향후 과제 182

        · 참고문헌 187

        · 부 록 197
        <부록 1> 통계자료 199
         조선의 인구 199
         지역별 인구 분포(조선인) 207
         직업별 인구 구성 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