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취학 자녀를 둔 여성관리자의 직장-가정 간 전이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자녀양육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저자 최하영/이소민/이호택
        발간호 제095호 통권제목 여성연구 2017년 4호
        구분 ARTICLE 등록일 2018-01-04
        첨부파일 5 미취학 자녀를 둔 여성관리자의- 최하영이소만이호택(151-191).pdf ( 796.79 KB ) [미리보기]

        본 연구의 목적은 미취학 자녀를 둔 여성관리자 집단의 직장-가정 전이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나아가 자녀양육만족도가 직장-
        가정 간 전이가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는지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의 여성관리자패널
        5차년도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최종 분석에는 미취학자녀를 둔 여성관리자
        420명의 데이터가 사용되었다. 분석방법으로는 SPSS Process macro를
        활용한 매개효과 검증 및 부트스트래핑을 활용한 통계적 유의성 검증을 실
        시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로는 먼저 직장-가정 갈등은 자녀양육만족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직장-가정 갈등은 여성관리자
        의 삶의 만족도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녀양육
        만족도는 삶의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직장-가정 갈등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직
        장-가정 촉진은 자녀양육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여성
        관리자의 삶의 만족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녀양육만족도는 직장-가정 촉진과 삶의 만족도 사이에서 부분매개효과
        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나 직장-가정 갈등과 촉진 모두 삶의 만족도에 직접
        적인 영향을 미치는 동시에 자녀양육만족도를 통한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
        고 있음이 검증되었다. 이에 따른 제언으로 첫째, 정부와 기업조직은 여성
        관리자들이 직장과 가정 생활을 양립할 수 있도록 제도적 장치와 조직문화
        를 마련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노동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
        야 한다. 둘째, 여성의 일을 인정하는 문화와 법적제도를 만듦으로써
        직장-가정 촉진을 향상시키고 자녀양육과 삶의 만족에 긍정적인 기여를
        해야 한다. 셋째, 정부에서는 여성근로자들의 욕구를 충족시키고 자녀돌봄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육아지원정책을 마련해야 한다. 이러한 결론을 토
        대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그리고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서술하였다.